교과목해설
과목코드 | 과목명 | 내용 |
---|---|---|
SOC 101 | 사회복지개론 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 |
사회복지의 입문으로서 사회복지의 개념과 방법론, 분야 등을 소개하고 사회복지의 역사 및 사상을 고찰케 하여 사회복지의 전문적 위치와 전망을 탐색케 한다. It aims at understanding the status and prospect of Social Welfare through introducing the concept, methodology and division of Social Welfare and through examining the history and thought of Social Welfare. |
SOC 102 | 자원봉사론 Volunteerism |
자원봉사의 이념 유형 및 방법들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선진 각 국의 자원봉사활동 실태를 개괄하며 이를 바탕으로 자원봉사프로그램의 계획과 평가 및 자원봉사활동 조정자로서의 능력과 자질을 배양한다. This class is to study the value, type and methods of volunteerism in social welfare area. Also, students can build abilities and mind to develop various volunteer programs and coordinator |
SOC 103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Human Behavior& Social Environment |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가장 중요한 지식인 인간에 대한 이해, 즉 인간의 성격이론과 인간의 발달에 대한 이해와 함께 사회복지실천의 중요한 관점인 환경속의 인간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Esamines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human behavior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action between people and provides the knowledge of normal and abnormal social functions. |
SOC 201 | 사회복지발달사 History of Social Welfare |
구미와 우리나라 사회복지의 역사적 배경을 단계별로 나누어 고찰하고, 비교함으로서 역사적 교훈을 학습한다. Western Society and Korea of the Social Welfare divide-by-step look at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comparison will learn by reviewing the history lesson. |
SOC 202 | 사회복지실천론 Social Work Practice Theories |
사회복지실천을 위한기초 지식, 즉 사회복지 실천의 철학과 가치, 통합적 접근법·면접론, 사회복지실천관계론 및 과정론에 대한 이해를 습득한다. Delves into the concepts, theories, and backgrounds of respective social work services, knowledge and skills of provision and roles and qualifications of social workers. |
SOC 203 | 사회복지조사론 Research Methods for Social Welfare |
이 과목은 사회복지의 제반분야에 있어서 과학적인 지식을 수립하는 기본적인 방법인 사회조사의 이론과 절차를 학습하고, 이를 근거로 사회조사의 절차에 따라 조사연구계획서를 작성하는 연습을 한다. This course focuses on studying theories and procedures of social research as a basic method of establishing scientific knowledge in diverse areas of social welfare. It is also required for the students to prepare research plans according to the social research framework. |
SOC 204 | 사회복지학전공진로탐색 Career Search o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
학생들이 대학 진학 이후 학과에서 습득하는 전공학문을 통해 막연히 가지게 되는 진로를 보다 명확히 선택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 자신의 능력과 적성, 성격과 흥미, 가치관, 신체적 조건 및 가정의 경제적 조건 등을 탐색하게 하고, 자기 개발의 기회를 부여하여 만족스런 직업생활을 위한 계기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This course helps students decide what to do after graduation with the chance to search their aptitudes and abilities, personalities and interests, and other conditions. In the course students will be given an opportunity to develop self-confidence which will enable them enjoy job satisfaction. |
SOC 205 | 사회보장론 Social Security |
사회보장의 제 이론과 선진제국에 있어서 사회보장제도의 역사적 발달을 고찰하고 우리나라 사회보장제도의 형성과정 및 문제점을 검토하여 사회보장제도의 모색과 발전방향을 탐구한다. This course studies the theories and history of social security. This course explores developmental models of social security system throughout reviewing making process and problem analysis of the korean social security system. |
SOC 206 | 지역사회복지론 Community Welfare |
사회복지사 활동을 주요 장으로서 존재하는 다양한 형태의 지역사회가 갖는 문제들에 대해서 사회복지사가 어떻게 개입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가를 이해하고, 이러한 이해를 기반으로 실천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배양시키는 것에 기본 목표를 둔다. Examines theories and skills of providing assistances for communities and diverse fields of social work services for the community. |
SOC 207 | 사회복지실천기술론 Skills & Techniques for Social Work Practice |
개인과 가족, 집단의 사회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회복지사가 숙지해야 하는 다양한 실천기술, 기법, 지침 등에 초점을 맞춘다. 특히 사례연구와 역할연습을 통해 실천기술, 기법, 지침을 실천 대상에게 적용하며, 실제로 개입하고 평가하는 연습을 강조한다. Social welfare skills and techniques are needed to apply social service fields and clients to give direct and indirect service. To be a confident professional social worker, there are basic knowledges to keep clients their various needs. |
SOC 209 | 사회복지윤리와철학 Social Work Practice Ethics |
사회복지의 기본적인 가치와 철학에 대해 배우고, 이를 통해 실천현장에서 전문가로서 갖추어야할 가치관과 윤리관에 대해 학습한다. The basic philosophy of social work values ??and learn about the practice through which equipped as a specialist in the field Must be learning about values and ethics. |
SOC 211 | 청소년복지론 Youth Welfare |
청소년의 발달과정을 사회심리적으로 이해하고 청소년문제와 복지에 대한 이론과 실천 영역을 이해하고 학습하여 우리나라 청소년복지의 발전방향을 모색한다. The process of youth development and youth issues and understanding of social psychological theory and practice for the welfare area, learning to understand and youth welfare and development of the country is looking for direction. |
SOC 301 | 노인복지론 Social Services for the Elderly |
노화의 제 측면에 관련된 이론의 검토를 통해 노화가 노인과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노인문제를 이해하며 대처하기 위해 실시되는 노인복지 정책과 서비스 및 실천 방법에 대해 배움으로써 노인복지 활동에 필요한 포괄적인 지식을 제공하고자 한다. Introduction to the field of aging, providing a general orientation for students who want an exposure to the field and a foundation for those who plan to seek additional competence. |
SOC 302 | 정신보건사회복지론 Social Work in Mental Health |
정신보건 영역에서의 사회사업활동을 통하여 정신질환자와 그 가족을 원조하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의 역할을 학습하고,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 재활을 증진시키기 위한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The purpose of this subject is to study the role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 who help the mental disorder patients and their family, and to learn the professional knowledge for mental disorder patients's community rehabilitation. |
SOC 303 | 사례관리론 Case Management |
지역에서 커뮤니티 워커로서 일하는 사회복지사가 알아야 할 실천방법론의 심화과정을 학습한다. 최근 선진국에서 지역복지실천에서 가장 효과적이라고 평가되고 있는 사례관리(care management)와 또 지역복지에 있어 사회자원을 이해하는데 필요불가결한 네트워킹(networking)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The aim of this course to make students learn about the administrative characteristics that organize and coordinate the regional resources for the clients' needs. It also make them learn direct intervention that serves continuing care and counselling and therapies in the advanced practice as individual social work. |
SOC 304 | 사회복지행정론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
사회복지 조직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하여 사회복지현장에서 효과적·효율적인 조직 관리와 프로그램개발 및 평가를 위해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케 한다. This course studies the effective and efficient organization management of social welfare agencies and cultivates the knowledge and skills for program design and evaluation which is based on the social welfare field and practice. |
SOC 305 | 사회복지법제 Social Welfare Laws |
사회복지법의 기본이념과 복지권 및 법적 체계를 이해하고 현행 한국사회복지 관계법령을 분석 검토하며 아울러 개정이나 개정되어야 할 법 내용을 탐구한다. This course studies the basic ideas and the legal system of social welfare Law and reviews the current korean social welfare laws. And It studies contents that the social welfare laws should be revised or amended. |
SOC 306 | 아동복지론 Child Welfare |
아동과 아동복지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이론적 배경과 실천방법을 학습하여 아동복지 분야에서 활동할 사회복지사의 능력을 배양한다. This course cultivates a social worker's capacity in child welfare by study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actice method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child and child welfare |
SOC 307 | 학교사회복지론 School Social Welfare |
학교폭력과 비행 등 학생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복지 실천방법으로서 학교사회사업의 필요성과 개념, 실천대상과 실천방법, 제도를 이해하게 함으로써 실천현장인 학교를 중심으로 한 학교사회복지사의 전문적 실천능력을 배양한다. This course provides students to professional abilities of school social worker through understanding of concept, client, and practice methods of school social work as a method of social welfare practice to solve the school problems such as violence in the school and school problems. |
SOC 308 | 사회복지지도감독론 Social Work Supervision |
사회사업실천의 장에서 전개되는 지도감독의 행정, 교육, 지지적 기능을 이해하게 하고 정보수집과 조직관리 및 평가 등 중진관리자로서 지도감독자의 자질을 갖추게 하며 전문가로서 내적 성장에 기여하게 한다. It provides Contexts and Concepts of Social Work Supervision to provide students with basic knowledge of theories, research, and practice of supervision. |
SOC 309 | 의료사회사업론 Social Work in Health Care |
병원과 공중 보건 분야에서의 사회사업가의 역할을 연구하며, 의료현장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킨다. The purpose of this subject is to study the role of medical social worker who work in the hospital and public health field, and to understand the environment of medical setting. |
SOC 310 | 사회복지자료분석론 Data Analysis for Social Welfare |
사회사업실천 및 연구에서 주로 활용되는 기술통계 및 기본적인 추론통계기법에 대한 이론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컴퓨터를 활용한 자료분석실습을 통해 습득한 이론적 지식을 실제로 활용하는 기회를 갖는다. Introduction to statistics commonly used in social work research, including the critical analysis of the findings and inferential processes of existing research studies. Prerequisite: Completion of Area C math course requirement. The course deal with Theory, skills and so on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work practice. It aims at searching for the Basic of clinical social work. |
SOC 324 | 사회복지현장실습1 Social Work Practicum 1 |
사회복지기관 및 시설 그리고 사회사업 적용분야 등에 배치되어 학교에서 배운 사회복지의 제 방법론의 이론과 지식을 현장실습을 통하여 적용해 보고 전문적인 실천기술과 역할을 습득하고 체험토록 한다. Provides the opportunity to apply theory into practice at various social work places. |
SOC 401 | 여성복지론 Social Services for the Women |
현대사회에서 여성들이 경험하고 있는 다중문제를 이론적 시각에서 규명하고 여성복지와 관련된 다양한 논쟁점들을 검토한다. 또한 현행 여성복지정책과 서비스를 성인지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한다. 특히 복지사회구현과 여성복지가 상호 보완하는 측면과 동시에 상충하는 측면을 살펴보고 복지사회에로의 다양한 선택을 논의하는 기본 틀을 제공한다. This course is designed to examine the multiple problems experienced by women in the current Korean society with the theoretical view. Also, this is to analyze the welfare policy and services for women and suggest the alternatives from gender point of view. This course explores the diverse ways leading welfare state through reviewing the respects of complement and contradiction with welfare for women. |
SOC 402 | 장애인복지론 Social Services for the Handicapped |
우리나라 장애인복지의 현황, 문제점, 대안을 검토하고 동시에 장애인을 위한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직업재활 등에 대해 사회사업가로서의 역할과 원조방법 등에 대한 연구를 한다. Students are prepared to understand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and systems which encompass them, such as family, community. This course provides opportunities to get a better understanding on social work methods and to figure out macro policies. |
SOC 403 | 가족과문화 Family and culture |
가족과 문화 수업은 고학년을 대상으로 건강한 가정에 대한 욕구와 사회적 필요성을 기반으로 건강가정기본법에서 제시한 건강하고 행복한 생활문화 정착 및 유도를 이해하고 더불어 수업을 들은 학생은 건강가정사 자격증 획득기회를 갖게된다. 수업의 주요 내용은 문화와 가정생활문화의 이해, 생활문화와 가족정책, 가정의 의식주 문화와 여가, 소비문화의 이해, 정보화와 가정경영문화 등이며,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수업 종결시 건강한 가정과 의식주 및 여가, 소비생활문화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으며, 가족공동체 문화를 발전시키는 역량강화의 기회를 가질 수 있다. How family as a social institution and social group interact with macro society and culture is the main theme of the class. Students will learn about the various ways that policy, leasure, and community influence on the family and, in turn, are influenced by the family in culture context. |
SOC 404 | 건강가정론 Introduction to Healthy Families |
건강가정론은 건강가정의 개념, 등장배경 및 이론적 접근, 건강가정의 제도, 정책 및 사업 (건강가정기본법, 건강가정정책, 건강가정사업, 다문화가정 지원 사업), 건강가정 실천 (건강가정 프로그램, 전달체계)과 관련된 내용으로 이루어진다. The course discusses the mission and philosophy of healthy families practitioners improving the quality of family life, reviews various theoretical foundations, and discusses the construction of the policy and delivery system. Types and methods of the healthy families program as a specified service and the desired quality as well as the roles of professionals are also presented. |
SOC 406 | 프로그램개발과평가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에 필요한 문제 확인, 디자인, 실행, 평가의 내용을 학습한다. 그리고 사회복지의 문제해결이나 정책을 실현하기 위한 도구로서의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한다. This course studies the theories and techniques of problem identification ,assess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for designing of social welfare program. It focused on acquiring for the ability to execute social welfare programs as a tool for planning and solving social problems and policies. |
SOC 409 | 가족복지론 Social Work with Families |
우리사회의 기본단위이면서 가장 중요한 집단인 가족에 대한 이해와 함께 현대사회에서 직면하는 다양한 가족문제에 대한 살펴보고, 이러한 가족문제 해결을 위한 가족복지적 접근방법을 연구한다. Study of objectives and characteristics of family treatment as well as the role of the worker and techniques commonly used. Relevant concepts about family as a social system, interactional processes, social class, and role conflicts, individual psychodynamics and situational variables are examined in terms of various types of family treatment reported from practice. including the life and thoughts of Gautama Buddha and the religious background of His time. |
SOC 410 | 사회복지정책론 Social Welfare Policy |
산업사회에서 발생되는 각종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복지정책의 성립배경과 형성과정을 역사적으로 고찰하며 각 국의 사회복지제도를 탐구하고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정책의 형성과정과 분석을 통하여 한국 사회복지정책방향을 모색케 한다. Esamines concepts, backgrounds, theories, methods, forms, and contents of social welfare policy, it also analyzes and compares social work program and policy. |
SOC 412 | 여성과현대사회 Women and Society |
‘여성과 현대사회’는 사회복지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건강가정사 자격증 취득을 위해 개설된 과목이다. 본 과목은 현대사회에서 여성주의적 접근방법과 관련 이론을 학습하여 여성의 사회적 지위와 역할이 무엇인지 학습한다. 또한 여성이 경제적 활동을 하는데 있어서 사회적 불평등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여성정책의 개선방향이 무엇인지 살펴본다. 여성주의적 관점을 형성하여 사회에서 여성이 경험하는 다양한 차별의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형성하고, 여성주의적 실천전략을 모색할 수 있도록 한다. Students taken this class, 'Women and Society', will be learn from social research relevant to such important topics as families and sexuality, work and the economy, politics and public policy. Students mainly focused on women's issues, and seeks gender equality. From this class, student will learn how to advocate for workplace rights, including maternity leave, and against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
SOC 413 | 사회복지학취업세미나 Employment Seminar |
사회복지학취업세미나 수업은 고학년을 대상으로 취업마인드를 개선하고, 전공 관련 취업 및 진로 지도를 강화하며, 수업 후 교수와의 교류 강화 할 목적으로 한다. 수업의 주요 내용은 취업현실에 대한 이해, 목표 진로분야 취업을 위한 직무 및 기업분석 활동, 직장예절, 목표 진로분야 기업 대상 현장 탐구, 실전 취업스킬(입사서류, 이미지메이킹 등) 함양, 직장예절 등에 대한 것이다.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수업 종결 시 목표 진로분야에서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파악하고, 취업의식을 고취(경력개발 필요성, 자신감)하는 효과를 가진다. This course let the students understand what are the core competencies for searching or getting a job. In addition, students can identify behaviors and skills all employees are expected to demonstrate to carry out the mission and goals of the social work arena. |
SOC 423 | 사회복지현장실습2 Social Work Practicum 2 |
사회복지기관 및 시설 그리고 사회사업 적용분야 등에 배치되어 학교에서 배운 사회복지의 제 방법론의 이론과 지식을 현장실습을 통하여 적용해 보고 전문적인 실천기술과 역할을 습득하고 체험토록 한다 Provides the opportunity to apply theory into practice at various social work places. |